3.5 Unstacking Game 강한 귀납법으로 증명하기
반응형
블럭 n개가 쌓여있다.
Unstacking Game은 해당 블럭을 더 이상 나눌 수 없을 때까지 (a,n−a)개로 나누어, 나누어진 블럭의 갯수의 곱을 내 점수에 더하여 점수를 측정한다고 한다.
예를들어, 블럭 5개를 (2개, 3개)로, 이를 각각 (1개, 1개), (2개, 1개)로, 마지막으로 (1개, 1개)로 나누었다면 내 점수는 2×3+1×1+2×1+1×1=10점이다.
그런데, n개의 블럭을 어떻게 나누든 점수가 S(n)이 된다는 것을 증명해보자.
Base case: S(1)=0이다. 블럭 1개로 점수를 낼 방법이 없다.
이제 강한 귀납 명제를 풀어보자.
P(1)∧⋯∧P(n)이 참일 때, P(n+1)이 참임을 증명하면 된다.
S(n+1)=k×(n+1−k)+s(k)+s(n+1−k)이다.
S(n)=n(n−1)2라고 추론하고, 이를 증명해보자.
S(1)=0,S(2)=1이며, S(n+1)은 다음과 같다.
S(n+1)=k(n+1−k)+k(k−1)2+(n+1−k)(n−k)2=2kn+2k−2k2+k2−k+n2−nk+n−k−kn+k22=n2+n2
우리의 추론이 맞았다! 귀납 명제가 증명되었다.
반응형
'학부 수업 > 이산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정수론: 서로소와 합동식 (Number Theory: Congruent and Relatively Prime) (2) | 2020.10.17 |
---|---|
4. 정수론: 최대공약수 (Number Theory: Great Common Divisor) (1) | 2020.10.14 |
3.5 귀납법을 통한 문자 퍼즐 문제 증명 (0) | 2020.10.14 |
3. 좋은 증명과 강한 수학적 귀납법 (Good Proof and Strong Induction) (1) | 2020.10.14 |
2. 수학적 귀납법과 예제를 통한 증명 (Proof by Induction) (2) | 2020.09.27 |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5. 정수론: 서로소와 합동식 (Number Theory: Congruent and Relatively Prime)
5. 정수론: 서로소와 합동식 (Number Theory: Congruent and Relatively Prime)
2020.10.17서로소 $\text{gcd}(x,y) = 1$이면, $x$와 $y$는 서로소relatively prime이다. 합동식Congruent Expression 정수 $x,y$의 차가 $n$의 배수인 경우, 법Modular $n$에 대해, 정수 $x,y$가 합동Congruent이라 하고 아래와 같이 나타낸다. $$ x \equiv y (\mod n)$$ 예를들어 $10\equiv 1 (\mod 3)$, $5\equiv 9 (\mod 4)$이다. 합동식의 곱셈의 역원 어떤 합동식 (예, $3x \equiv 7 (\mod 4)$)에 대하여, 올바른 $x$를 합동식의 해라 하는데, 특히 $xx^{-1} \equiv 1 (\mod n$꼴의 합동식에서, $x^{-1}$을 합동식의 곱셈의 역원Moular Multiplca… -
4. 정수론: 최대공약수 (Number Theory: Great Common Divisor)
4. 정수론: 최대공약수 (Number Theory: Great Common Divisor)
2020.10.14정수론이란, 정수의 성질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정수론은 주로 현대 암호학에 응용된다. 물통 채우기 $(a\leq b)$인 $a$리터 물병과 $b$리터 물병을 이용해 $m$리터 물통을 채워야 하는 문제를 생각해보자. $m|a$: $a$는 $m$으로 나누어 떨어진다. $\text{iff (if and only if)}$: 필요충분조건 $$ \text{Def 1.} m|a \text{, iff } \exists k \in \mathbb{Z}, a=km $$ $a =km$이 성립하는 정수 $k$가 존재할 때, $a$는 $m$으로 나누어 떨어지고 $m|a$처럼 나타낼 수 있다. $$\text{Theorem 1. if } m|a \text{ and } m|b \text{, then } m|\text{any poss… -
3.5 귀납법을 통한 문자 퍼즐 문제 증명
3.5 귀납법을 통한 문자 퍼즐 문제 증명
2020.10.14아래와 같은 타일로 이루어진 퍼즐을 생각해보자. 빈 칸으로 다른 타일을 움직여 퍼즐의 모양을 바꿀 수 있다. 이때, 다른 타일의 위치는 모두 유지한 채 H와 G의 위치만 바꿀 수 없음을 수학적 귀납법을 통해 증명해보자. $$\text{Lemma 1. Row move does not change the order.}$$ 같은 행에서의 이동은, 순서를 바꾸지 않는다. (H 빈칸 G)나 (H G 빈칸), (빈칸 H G) 모두 알파벳 순서는 바뀌지 않았다. $$\text{Lemma 2. Column move does change the relative order of 2 pairs of letters.}$$ 그러나 열 이동은 2 쌍의 알파벳의 순서를 바꾼다. 예를들어, F의 위치를 $i$라 할 때, F가 아래로… -
3. 좋은 증명과 강한 수학적 귀납법 (Good Proof and Strong Induction)
3. 좋은 증명과 강한 수학적 귀납법 (Good Proof and Strong Induction)
2020.10.14좋은 수학적 증명은 다음 요소들을 갖는다. 올바름Correct 완전성Complete (과정을 생략하지 않음) 명료성Clear 간결성Brief 아름다움Elegant 잘 정돈됨Well-organized 보조 정리Lemma 활용 순서에 맞는 변수 활용 ($a, b, \cdots$) 반면, 나쁜 수학적 증명은 다음 요소들을 포함한다. 이미 알려진 공리나 이론을 불필요하게 많이 사용함 (피로한 증명) 적절하지 않은 예시를 통한 증명 (편향된 예시, 극소수의 예시 등) 강렬한 주장 등을 통한 증명 (= 우기기) 생략을 포함한 증명 사진을 이용한 증명 직관을 통한 증명 권위를 통한 증명 성가신 노테이션 지저분하고 직관적이지 않은 변수 사용 수학 증명 용어들 정의 (Definition): 수학 기호와 용어의 뜻 등을 …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