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영역을 누르면 첫 페이지로 이동
컴퓨터와 수학, 몽상 조금 블로그의 첫 페이지로 이동

컴퓨터와 수학, 몽상 조금

페이지 맨 위로 올라가기

컴퓨터와 수학, 몽상 조금

컴퓨터공학, 딥러닝, 수학 등을 다룹니다.

Blog/내 이야기

  • 컴퓨터와 수학, 몽상 조금
그대 오늘 어떤 기분이신가요

그대 오늘 어떤 기분이신가요

2025.02.09
아침에 일어나 간단한 간식을 먹고, 컴퓨터를 켠다.언젠가 내가 하기로 결정한, 수일에서 수십 일째 계속하고 있지만, 막상 어제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것 같은 일을 하고,집중력이 떨어질 때쯤 점심을 먹는다.캘린더를 보니 저녁 약속이 있는 날이라, 조금 더 일하다가 가방을 챙겨 밖으로 나간다.일정이 있는 것 보니 벌써 주말이구나, 속절없이 흐르는 시간에 아찔하다.내가 나라는 것을 깨닫고 느끼기 시작했을 때, 난 이미 학생이었다.아침에 일어나 때로는 걸어서, 때로는 버스를 타고 학교에 가고때로는 6시에, 때로는 8시에, 때로는 10시 넘어 집에 돌아왔다.스무 살이 되고 12시가 넘어 집에 들어가도 혼나지 않게 되었을 때,군복을 입고 집이 아니라 부대로 복귀하게 되었을 때,때때로 내 삶이 송두리째 바뀐 것만 같은..
내일, 내 눈이 멀어버린다면.

내일, 내 눈이 멀어버린다면.

2024.09.05
너 당장 대학병원 가야 돼. 조금 있으면 눈먼다.내 인생에 이런 이야기를 들을 날이 올 줄은, 그것도 이렇게 빨리 올 줄은 몰랐다.2024년 3월, 만 23세의 봄날이었다.봄바람도 좋고, 대학생활의 막바지도 즐길 겸 렌즈라도 맞춰볼까 해서 방문한 안과에서 선생님의 권유에 가벼운 마음으로 받은 검사였다.매끈한 검사 장비에 얼굴을 가져다 대고 내 눈을 유심히 들여다보시는 선생님의 표정이 세상 진지하시기에, 장난스럽게 "안 좋은 거예요?"라고 물었는데, 정말 안 좋은 소식일 줄이야.이름도 생소한, 망막 열공필자의 전공은 컴퓨터 비전(Computer Vision)이라는 분야로, 쉽게 말해 컴퓨터가 세상을 보고 이해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을 연구하는 분야이다. 덕분에 카메라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물체에 반사된 빛이..
공돌이 22년, 주짓수를 시작하다.

공돌이 22년, 주짓수를 시작하다.

2023.10.28
본 포스팅은 포보스 선정 (아님) 군자동 최고의 주짓수 맛집 스트라이브 주짓수에서 아무런 후원 없이 작성되었습니다. 🥋 공돌이 외길 인생 22년. 인생에 스포츠란 e-스포츠 밖에 없던 필자(솔랭 이블린 원챔)가 주짓수를 시작하게 된 계기는 연구실 최고참 선배의 권유였다. 항상 맛있는 논문만 소개해주시던 분이 갑자기 그 어느 때보다 신나는 표정으로 주짓수가 재밌다고 얼굴을 마주칠 때마다 얘기하니, 과학자를 꿈꾸는 공학도로써 무엇이 이런 기이한 현상을 일으키는지 알아보지 않고는 배길 수가 없었던 것이다. "주짓수가 그렇게 재밌어요?" 한마디 물었다가 정신을 차려보니, 나는 이미 주짓수 도장에서 낯선 도복을 입고 일일 체험을 받고 있었다. 얼떨결에 접한 주짓수에 대한 감상은, "신기함"이었다. 나로 말할 것 ..
필리포의 달걀

필리포의 달걀

2023.05.15
오늘 ImageBind 논문을 읽었다. 그리고 두근거림이 멈추지 않는다. 등 뒤로 식은땀이 비 오듯 흐른다. 손이 떨려서, 뭐라도 적지 않으면 가슴이 터질 것 같아서 글을 쓴다. 이 논문은 딥러닝, 그중에서도 요즘 핫한 생성형 모델(그림이나 텍스트를 생성하는)이나 검색 등, 임베딩 관련된 분야를 연구하는 사람들이라면 한 번쯤 꿈꾸었을, 궁극의 임베딩 공간을 만드는 방법을 소개한 논문이다. 쉽게 설명하면, 이 세상에는 정말 다양한 데이터가 있다. 우리는 오감을 통해 세상의 데이터를 받아들이고, 어떤 단어로 그 데이터를 인지한다. 이게 바로 임베딩이다. 붉은 과일의 모양과 새콤달콤한 맛을 느끼고 사과를 떠올리는 것. 그런데 인공지능에게는 이게 어렵다. 붉은 과일을 사과로 분류하게 할 수는 있다. 새콤 달콤한..
소중한 사람과 잘 싸우는 법

소중한 사람과 잘 싸우는 법

2022.04.19
누군가와 관계를 맺다 보면 갈등은 불가피하다. 특히 서로의 거리가 가까우면 가까울수록 더 민감하고 어려워지는 것이 갈등인 것 같다. 가까운 관계에서의 갈등은 정말 다양한 이유로 발생한다. 내게 있어 정말 중요한 선을 상대가(혹은 내가) 넘어서 발생하기도 하고, 때로는 별것도 아닌 일로 갈등이 생겨 감정싸움으로 발전하고 서로에게 큰 상처를 남기기도 한다. 이렇게 상처를 주고받으면 가까운 사람일수록 큰 후회가 돌아오는 법이다. 그러나 군주론에서 말했듯, 사람은 자신에게 공포와 고통을 주는 사람보다 사랑을 주는 사람에게 더 쉽게 상처 입힌다. 나도 돌이켜보면 소중한 사람에게 쉽게 상처를 주고, 후회한 일이 많았던 것 같다. 나는 고등학생 때, 아버지와 싸우며 소중한 사람에게 상처를 입히는 내 모습을 발견하고 ..
내 이야기를 써보려고 합니다.

내 이야기를 써보려고 합니다.

2022.04.10
2022년이 되고 어느새 3개월이 흘렀다. 작년 회고글을 올리고 한동안 글쓰기를 손에서 놓다시피 하고 있었다. 덕분에 3년간 이어진 "새해 계획" 글이 한 해 쉬어가게 되었다. (이 블로그에서 상당히 인기 있는 콘텐츠인데, 기다리고 계시던 분들께는 죄송하다.) 짤막한 글이나 업무상 문서 작성은 했지만 진짜 내 이야기를 담은 글을 쓴지는 오래된 것 같다. 글을 쓰지 못한 이유야 여러 가지 있지만, 가장 큰 이유는 "힘들어서"였다. 나는 글을 쓰면서 내 생각과 감정을 최대한 숨기지 않으려고 노력한다. 애초에 글을 쓰는 목적이 내 현재를 기억하기 위함인데, 글을 남들이 보기 좋게 다듬어선 의미가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런 글쓰기는 대체로 상당히 힘들다. 좋은 내용, 하고 싶은 말을 담은 글은 술술..
2020년 2학기 중간 근황

2020년 2학기 중간 근황

2020.11.07
2020년 2학기도 벌써 반이 지났다. 중간고사도 치렀고, 이제 벌써 10주차가 다 지나간다. 원래는 이번에도 회고 형식으로 긴 글을 작성해볼까 했지만, 그다지 길게 쓸 내용도 없고 오히려 소소하게 가벼운 투로 쓸만한 내용이 많은 듯하여 가볍게 글을 써보고자 한다. 중간고사 결과 이번 학기 중간고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컴퓨터구조: 중간고사 만점. 알고리즘: 80점. B+ 이산수학: 만점. A0 (재수강 ㅠ) 선형대수학: 38점. B+ 기계학습: 80점. B+ 과목 점수/학점 공부량 컴퓨터구조 100 / 학점 안뜸 보통 알고리즘 80 / B+ 조금 기계학습 80 / B+ 조금 이산수학 100 / A0 (재수강 ㅠㅠ) 많이 선형대수학 38 / B+ 보통 공부에 신경을 쓰고 꾸준히 준비한 컴퓨터구조와 이산수..
철학하는 인공지능(AI), GPT-3와 대화해보았습니다.

철학하는 인공지능(AI), GPT-3와 대화해보았습니다.

2020.09.26
AI 커뮤니티를 둘러보던 중, 요즘 핫한 자연어 처리 모델 GPT-3로 구현된 철학자 AI가 있기에 간단히 몇 가지 문답을 나눠보았습니다. 철학에 관련된 질문이나 단어를 던지면, GPT-3가 거기에 맞게 대답을 해줍니다. 글 맨 아래에 링크를 남겨두었으니, 영어가 가능하신 분들은 직접 시도해보시길 강권합니다! 아래는 제가 AI와 나눈 대화의 번역본입니다. 우린 무엇을 위해 살아가는가? 우리가 무엇을 위해 살아가느냐고요? 답은 당신이 한 질문의 의미에 따라 달렸습니다. "삶이 무엇이냐"와 "인간은 무엇을 위해 사는가", 이 두 질문은 완전히 다른 질문입니다. 첫 질문에 대한 답은, 삶은 단순한 구조에서 복잡한 구조로 향하는 진화의 과정이라는 것입니다. 인간은 그저 이 과정 속의 한 단계에 불과한 것이죠. ..
  • 최신
    • 1
  • 다음

정보

컴퓨터와 수학, 몽상 조금 블로그의 첫 페이지로 이동

컴퓨터와 수학, 몽상 조금

  • 컴퓨터와 수학, 몽상 조금의 첫 페이지로 이동

검색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276)
    • Tech Trend (3)
    • Deep Learning (77)
      • 공부 노트 (21)
      • 논문 리뷰 (44)
      • 논문 스키밍 (1)
      • 영상처리 (11)
    • Engineering (3)
      • Tips (2)
      • Experiences (1)
    • Blog (42)
      • 회고 & 계획 (16)
      • 내 이야기 (8)
      • 리뷰 (3)
      • 군대에 간 공돌이 (9)
      • ML엔지니어 취업 도전기 (1)
      • 여행 (4)
    • 학부 수업 (141)
      • 머신러닝 (16)
      • C프로그래밍 (8)
      • 자료구조 (11)
      • 알고리즘 (17)
      • 디지털시스템 (25)
      • 컴퓨터구조 (11)
      • 확률과 통계 (21)
      • 선형대수학 (14)
      • 이산수학 (18)
      • 데이터시각화 (0)
    • 강의 (9)
      • 딥러닝 기초 (7)
      • Python (2)

공지사항

인기 글

정보

백지오의 컴퓨터와 수학, 몽상 조금

컴퓨터와 수학, 몽상 조금

백지오

블로그 구독하기

  • 구독하기
  • RSS 피드

티스토리

  • 티스토리 홈
  • 이 블로그 관리하기
  • 글쓰기
반응형

나의 외부 링크

  • profile
  • github
  • linkedin

방문자

  • 전체 방문자
  • 오늘
  • 어제
Powered by Tistory / Kakao. © 백지오. Designed by Fraccino.

티스토리툴바